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4 | 5 |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 열처리
- 연속냉각
- 펄라이트
- 크레이징
- 오스테나이트
- 사출금형
- 뜨임
- 발진
- 금형불량
- NICU
- 금형기술사기출
- 무신경절
- 오버팩
- 변실금
- 플로우마크
- 금형기술사
- 제팅
- 숏샷
- BCC
- 사출금형불량
- 은줄
- 선천성 거대결장 수술
- 사출금형설계기사
- 페라이트
- 선천성 거대결장
- FCC
- 금형기술사121회
- 실버스트리크
- 항온냉각
- 프레스금형
- Today
- Total
목록전체 글 (36)
아직은 어설픈 기록의 공간
이번 포스팅에서는 연속 냉각 곡선에 대해서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앞선 포스팅에서 다뤘던 항온 열처리와는 다르게, 시간에 따른 온도 변화가 있는 곡선입니다.이 연속 냉각 곡선은 뒤에서 다룰 다양한 열처리 방법에 대해서 알아보는데 가장 기본이 될 내용입니다. 연속 냉각 곡선(Continuous Cooling Transformation Curve)연속 냉각 곡선은 TTT Curve에 냉각 속도와 관련된 커브를 추가한 것입니다. 이 곡선을 토대로 냉각 속도에 따른 강의 조직 변화를 알아두는 것이 열처리의 기본입니다. 아래의 그래프를 보면 총 여섯가지의 냉각속도를 v1~v6까지 그래프에 나타냈습니다.v1에서 v6로 갈수록 시간 대비 온도의 하강폭이 크기 때문에, 냉각속도가 빠르다고 볼 수 있습니다. v1은 가장 ..
이번 포스팅에서는 시간 온도 변태 곡선과 항온 열처리에 대해서 알아보겠습니다.제 포스팅으로 부족한 부분이 많을 테니, 꼭 다른 포스팅과 유튜브나 구글 검색을 해보시는걸 추천합니다.특히 용어에 관해서 제가 충분히 설명하지 못한 부분이 있으므로, 상의 단면이나, 특성에 대해서는 자체적으로 찾아보셨으면 합니다.혹은 추후에 번외편으로 적겠습니다. 시간-온도-변태 곡선(Time Temperature Transformation Curve)대부분의 열처리과정에 있어서 시간이라는 인자가 중요한 인자인데, 평형상태도는 이에 대한 내용이 빠져있습니다. 아주 느린 시간으로 온도가 변화한다는 가정으로 그린 그래프이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시간-온도 변태선도를 알아야합니다.시간-온도 변태선도는 단독으로 보기 보다는 1.항온 열처..
이번 포스팅은 강의 탄소함유량, 온도에 따른 상의 변화를 다룬 평형상태도를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열처리 관련 내용은 평형상태도에서 출발한다고 보면될 것 같습니다. 따라서 반드시 암기 혹은 숙지해야합니다. 평형상태도(equilibrium phase diagram)란?여러 가지 조성의 합금을 용융 상태로부터 응고되어 상온에 이르기까지 상태의 변화를 나타낸 그림 출처:https://mechaniclove.com/wp-content/uploads/2017/12/phase_diagram_large.gif 철-탄소 평형상태도(Fe-Fe3C 상태도)강에 있어서 가장 중요한 합금 원소는 탄소이므로, 철-탄소 평형상태도를 중요하게 다룬다.가로축은 탄소함유량을, 세로축은 온도를 나타낸다.평형상태도는 강의 온도를 매우 천천..
이번 포스팅에서는 열처리의 입문을 위한 내용과 단어에 관해 간략히 다루도록 하겠습니다. 열처리라는게 눈에 보이는 현상이 아니기 때문에 이해하기 어려운것 같습니다.책을 몇 번이나 읽고, 유튜브 강의나 구글 검색, 교재에서 발췌한 내용을 가지고 포스팅을 하겠습니다.기술사 기출문제를 보면, 기본적인 내용을 묻는 문제는 나오지 않는데, 답변을 기술할 때는 기본적인 내용을 기술하는 것이 중요합니다.또한 앞으로 나오는 다양한 열처리 방법을 이해하는데 있어서 기본적인 내용이 필요하니 충분히 숙지하는 것이 좋을 것 같습니다. 열처리란 무엇인가?금속 또는 합금에 요구되는 성질, 즉 경도, 내마모성, 내충격성, 가공성, 자성 등의 제반 성능을 부여하기 위한 목적으로가열과 냉각 조작을 여러 가지로 조합시키는 기술값싼 소재의..
Injection Molding: Nozzle Heaters & Thermocouples: A Case of Wiring Done Wrong노즐 히터와 써모커플: 잘못된 전선정리 사례 If you work with injection molding machines making parts all day long,what would you like to see redone to make them better or easier to use?My list is long.Molding machines are complex and each of us has our preferences.In my evaluations, I have nearly 100 criteria to review and evaluate befor..
이번 포스팅에서는 사출기의 사출, 계량 능력등에 관해서 알아보고 금형 설계시 주의할 점에 대해서 알아보겠습니다.이전 포스팅은 이번 포스팅의 내용과 일정 부분 관련되어 있으니, 링크를 달아드립니다. 2018/03/09 - [금형설계/사출금형] - 사출기의 스펙과 금형 설계시 주의 사항(크기와 무게를 중심으로) 본격적으로 들어가기에 앞서, 사출 금형의 사이클은 형폐-충진-보압-냉각-형개-취출의 순서로 이루어져 있다는 것은 알고 계실겁니다.이 한 사이클중에 사출, 계량 능력이 차지하는 비중은 매우 큽니다. 충진과 보압, 그리고 순서상 나오지 않은 계량까지 포함하니까요. 첫번째로 계량에 관련된 사출기의 스펙을 알아보겠습니다.사출기의 스펙중 가소화 능력으로 표시된 스펙이 계량에 관련된 주요한 스펙입니다.가소화 능..
이번 포스팅에서는 사출기의 스펙과 금형 설계 시 주의 사항에 대해서 알아보겠습니다.사출기의 스펙은 사출 금형을 설계하는데 몇가지 고려해야할 중요한 사항 중 하나입니다.따라서 사출 금형을 설계할 때 반드시 알아야할 사출기의 스펙에 대해서 알아보겠습니다.특수 사양의 사출기에(이중사출기, 탠덤사출기, TI 사출기등) 대해서는 한번에 설명하기에는 범위가 너무 광범위 하므로일반적으로 사용하는 사출기에 대해서만 다루도록 하겠습니다. 사출기는 "톤수"라는 형체력 기준의 스펙이 있습니다.형체력이라는 것은 충진과정, 보압과정에서 생기는 금형 내의 압력을 제품 형상면이 받았을 때, 금형이 열리려고 하는데이를 잡아주는 힘이라고 보시면 됩니다.작게는 50톤 사출기부터 초대형 3000톤 사출기 까지 그 사이에 많은 사출기가 있..
앞선 포스팅은 스크류의 존재이유(?)에 대해서 서술해 보았습니다.이번 포스팅에서는 스크류에 대해서 다시 다루어 보겠습니다. 먼저 스크류의 형상을 살펴보자. 스크류의 깊이는 호퍼부분과 노즐 부분에서 차이가 있다. 이러한 깊이 차이로 스크류는 3개의 부분으로 나눌 수 있다.호퍼 바로 아래쪽부터 비교적 깊이가 깊은 부분은 공급부(feed zone)라고 하고그 앞에는 깊이가 깊은 부분에서 얕게변하는 압축부transition zone),그리고 깊이가 얕은 계량부(metering zone)가 있다.(대략 스크류 길이 중 공급부 60%, 압축부 20%, 계량부 20% 정도 된다.) 이러한 깊이의 변화는 펠렛의 마찰열을 일으키도록 하는 의도에서 설계되었다고 볼 수 있다.호퍼에서 공급된펠렛은 스크류-배럴의 빈공간으로 들..
흥미롭게도 사출기의 구조 자료를 찾아보면 사출부에 관한 내용들이 주를 이루는데,그 이유는 -개인적인 의견이지만 - 수지를 어떻게 녹이고, 어떤 속도, 어떤 압력으로 금형에 주입하느냐가제품을 생산하는데 가장 중요한 역할을 하기 때문이 아닐까 생각해보았다. 앞서 살펴보았던 사출기의 기본 구조에 대해서 알아보려면 아래의 링크부터 살펴보자 2017/12/26 - [분류 전체보기] - [사출금형]사출기의 구조-1 각설하고, 먼저 스크류부터 살펴보자.그런데 스크류는 왜 있을까?수지를 배럴에 넣고 히터 밴드로 녹이기고 주입만 하는 사출기는 없을까?가능하다.배럴 외부에 heater로 수지를 완벽히 녹이고 배럴에 넣고 주입만 하는 사출기는 없을까?이것도 가능하다. 사실 위의 사출기들는 교과서에서 볼 법한 사출기이고, 제..
이번 포스팅에서는 사출기의 구조에 관해서 포스팅하도록하겠습니다.원래 사출금형의 불량에 관해서 먼저 언급하려 했는데, 사출기의 구조와 사출 조건등에 대해서 먼저 집고 넘어가야어떤 불량이 어떤 이유에 의해서 발생했는지, 또 어떻게 조치했는지에 대해서 다룰 수 있을 것 같습니다. 흔히 사출 금형를 붕어빵 틀에 비교하지만 붕어빵은 밀가루와 앙꼬를 넣고 뚜껑을 닫고 구워지면 끝이지만,수지는 그러한 성형 조건으로 제품을 생상할 수 없다.수지를 고열로 녹인후에 고압으로 금형 내부로 주입해야하고, 제품도 금형에서 빼내야한다.금형은 제품에 따라 형상이나 구조가 바뀌지만, 사출기는 구조가 바뀌지 않고공정의 순서나 조건을 바꿔가면서 제품에 맞는 사출을 할 수 있도록 한다. 사출기를 아주 간략히 표시한 아래 그림을 살펴보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