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록전체 글 (36)
아직은 어설픈 기록의 공간
이번 포스팅에서는 수지의 pvT 선도에 대해 포스팅하겠습니다.앞선 배향에 관한 내용이 궁금하시다면 아래의 포스팅을 참고하시면 됩니다. 2017/12/21 - [금형설계/사출금형] - [사출금형]배향에 관하여(고분자의 배향) pvT 선도는 수지의 온도 및 압력에 따른 부피 변화를 표현한 그래프이다.수지의 온도를 높이면 부피는 커지고, 압력을 높이면 부피는 줄어든다.이는 아래 2개의 그래프 모두 공통적으로 나타나고 있다.그래프의 x축은 온도를 y 축은 부피를 그리고 3개의 그래프중 아래쪽으로 내려갈수록 압력의 증가를 나타낸다.가장 아래의 그래프를 보면 온도가 상승하면 부피가 커지는 것을 볼 수 있고,동일한 온도에서 압력이 작은 쪽이 부피가 크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왼쪽의 그래프는 비결정성, 오른쪽의 그래프..
이번 포스팅에서는 수지의 배향에 관해서 포스팅해보도록 하겠습니다.앞선 분수유동에 관한 내용이 궁금하시다면 아래의 포스팅을 참고하시면 됩니다. 2017/12/20 - [금형설계/사출금형] - [사출금형]수지의 유동 특성(분수 유동) 배향(Molecular Orientation) 이라는 것은 고분자의 긴 사슬 모양의 구조가 수지의 흐름 방향으로 늘어서면서 생기는,일종의 고분자의 배열이라고 볼 수 있다. 수지가 cavity 내부에서 유동할 때 전단력이 많이 발생하는 cavity 면에서는 뚜렷한 배향층이 나타나고중앙 부분은 별다른 유동 저항이 없기 때문에 배향이 없는 비배향층이나타난다. 이러한 현상으로 제품 외부는 배향층, 내부는 비배향층인 이중 구조를 가지게 된다. 배향의 영향으로 수지의 흐름방향으로는 강도가..
이번 포스팅에서는 수지의 유동 특성에 대해서 알아보겠습니다. 수지의 유동 특성을 파악하고, 이해하게 되면 제품 생산 시 발생하는 문제점에 대해서 조금 더 쉽게 이해할 수 있다.예를 들면 Flow mark 라던가, Air trap등 수지의 흐름으로서 나타나는 문제들 말이다. 수지는 형내에서(cavity 내에서) 분수 유동을(fountain flow) 한다고 알려져 있다.분수 유동이란 무엇일까? 일반 적인 유체는 관내에서 아래와 같은 속도 분포를 가지면서 흐른다.흐름의 가장 앞단의 속도 분포는 벽면과의 마찰이 있는 면은 속도가 느리고,관 중앙으로 갈수록 마찰이 없기 때문에 유체가 빠르게 흐를 수 있다. 위의 일반적인 유체의 흐름과는 다르게, 수지는 고온에서 용융된 상태이고,수지가 흐르는 벽면과 cavity내..
이번 포스팅에서는 PP 수지의 특성을 다뤄보겠습니다. 1. 재료성질 1) 전체적인 물성은 PE과 유사하며 기본 색상은 반투명이다. 2) 다른 수지에 비해서 비중이 적어(0.9 ~ 0.91) 물에 뜬다. 3) 결정성 수지로 인장강도, 경도는 결정화도가 높으면 크게 되고, 충격 강도는 반대로 떨어지는 경향이 있다. 4) PE보다 다소 가벼우며 내열성도 좋다. 낮은 온도에서는 PE보다 잘 부서진다. 5) 힌지성(Hinge : 경첩처럼접었다 펼쳤다하는 데 견디는 성질)이 우수하다. 6) 전기적 특성이 우수하며 무해하다. 7) 표면 처리를 하지 않으면 인쇄, 접착이 어렵다. 열용접, 고주파용접은 가능하다 8) 산, 알칼리, 염수, 알코올, 가솔린, 오일에 강하지만 구리(동)와 접촉을 피해야 한다. 9) 스트레스크..
이번 포스팅에서는 PC 수지의 특성을 다뤄보겠습니다. 1. 재료성질 1) 자연색에서는 투명으로 약간 갈색을 띄고 있다. 2) 인장강도, 벤딩강도, 충격강도등 기계적 강도가 강하다. 3) 내열성이 높고 열변형온도(135 ~ 140℃)가 우수하다. 4) 내전압, 고주파특성이뛰어나다. 5) 자기소화성이 있으며 오일, 약산, 강산, 알칼리, 벤젠, 알코올에 강하다. 6) 내후성이 뛰어나며 치수 안정성이 좋다. 7) 접착, 인쇄가 가능하다. 8) 글라스 파이버(GLASS FIBER : 유리질 섬유)나 카본 섬유를 혼입하여 강화형으로 사용 가능하다. A) 기계적 성질 : 탄성률 3배, 압축강도 2.0 ~ 2.5배 향상됨 B) 열적 성질 : 열팽창률은 약1/3, 하중 연소 온도에서는 약 15도가 높다. C) 치수 안..
이번 포스팅에서는 PE 수지의 특성을 다뤄보도록 하겠습니다. 1. 재료성질 1) 반투명 연질의 수지로 결정성 플라스틱이다. 2) 밀도별로 저밀도폴리에틸렌, 중밀도 폴리에틸렌, 고밀도폴리에틸렌이 있고 무게가 가벼우므로 물에 뜬다. (사출성형에는 고밀도 폴리에틸렌이 주로 사용된다.) 3) 충격에 강하며 잘 부서지지 않는다. 4) 양호한 전기적 특성을 갖고 있으며, 수분의 흡습도가 낮아 예비건조를 필요로 하지 않는다. 5) 스트레스 크래킹(stress cracking)을 일으키기 쉽고, 상온에서는 용제에 녹지 않는다. 6) 산, 알칼리, 솔벤트, 알코올, 가솔린, 물, 오일에 강하다. 7) 가연성이며 파라핀과 같은 냄새와 밝은 빛을 내며 타고, 불꽃의 중심에서는 파란색이 난다. 8) 무미, 무독, 무취이다. ..
이번 포스팅 부터는 특정 수지의 특성에 대해서 알아보겠습니다.대표적인 수지를 먼저 포스팅하고, 기회가 된다면 좀 더 다양한 수지를 다루도록 하겠습니다.수지의 특성에 관한 포스팅은 수집된 자료를 정렬하는 형식으로 진행하겠습니다.(이론적으로 수지의 분자 구조나, 고분자의 특성을 수지의 특성과 연관지어 설명하면 좋겠지만,화학분야 까지 모든 것을 설명할 능력이 없습니다..) 먼저 ABS 수지의 특성부터 시작하도록 하겠다. 1. 재료성질 1) 인장강도, 충격강도가 높다. 2) 유백색으로반투명이고착색이쉽다. 색상이 아름답다. 3) 광택이 좋고 치수 안정성이 우수하므로 외장 제품에 많이 사용된다. 4) 전기 절연성은 좋으나 고주파 절연성은약하다. 5) 기계 가공성이 좋으며 인쇄, 접착성이좋다. 6) 표면에 화학도금으..
제조 현장에서 플라스틱(레진, 수지)는 대부분 약어로 부르고 있다.플라스틱의 약어와 full name은 아래와 같다.각각의 플라스틱은 full name에서 원재료가 대략 어떤 것들이 들어가있는지 확인 할 수 있다.다만 전문적으로 연구하는 분야가 아니므로, 이름만 알아두더라도 충분히 도움이 된다. 아래 표에 나타낸 수지가 모든 수지를 포함하지 않기 때문에 중간중간 추가 하도록 하겠다. ABSAcrylonitrile Butadiene StyreneSANAcrylonitrile StyrenePAPolyamide (Nylon)PCPolycarbonatePCTFEPolychloro Trifluoro EthylenePEPolyethylenePETPolyehtylene TerephtalatePMMAPoly Methy..
이번 포스팅에서는 플라스틱의 분류를 정리해 분류표로 나타내 보았다. 플라스틱은 크게 열경화성, 열가소성으로 나누고, 열가소성은 결정성, 비결정성으로 나눌 수 있으므로,이전의 포스팅을 간단히 읽어보고 오도록 하자. 2017/12/17 - [금형설계/사출금형] - [사출금형]플라스틱의 분류(수지의 분류)2017/12/17 - [금형설계/사출금형] - [사출금형]결정성 수지와 비결정성 수지 비교 아래의 표는 인터넷 검색을 통해 쉽게 얻을 수 있는 것으로, 깔끔히 정리만 해놓은 수준이다.수지가 추가되야 하는 경우는 도표에 바로 바로 추가해서 업데이트 하도록하겠다. 제조 현장에서는 매우 다양한 수지를 다루기는 어렵다.특정 제품에 맞는 수지는 큰 범주를 벗어나지 않기 때문이다.하지만, 금형기술사 공부를 시작하면서 ..
앞선 포스팅에서 플라스틱을 열경화성 수지, 열가소성 수지로 나누어 보았고, 각각의 특징에 대해서 살펴보았다. 2017/12/17 - [금형설계/사출금형] - [사출금형]플라스틱의 분류(수지의 분류) 이번 포스팅에서는 결정성 수지와 비결정성 수지의 차이점을 표로 간략히 나타내보고,왜 이런 차이점이 나타나는지 앞선 포스팅에서 적었던 내용을 토대로 설명해보도록 하겠다. 결정성 비결정성 유동성 용융 온도 이상에서 양호 상대적으로 흐름성 낮음 수축률 0.012~0.025(큼) 0.004~0.012(작음) 치수정밀도 좋지 않음 좋음 가열 및 냉각 많은 열량 변화 상대적으로 적은 열량 변화 온도 변화에 따른 강도 변화 용융 온도 이하에서 적은 영향 온도증가에 따른 강도 감소 유동성과 온도 변화에 따른 강도의 변화을 ..